[아이뉴스24 박은경 기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김병환 금융위원장을 비롯해 여당과 대립각을 세우면서 금융당국부터 국회까지 쑥대밭이 됐다.
김병환 금융위원장이 상법 개정안에 대해 "자본시장법 개선이 우선돼야 한다"며 에둘러 반대를 표명한 것과 반대로 이 원장은 상법 개정안에 찬성하며 한덕수 국무총리 겸 대통령 대행에게 '거부권을 행사하지 말라'는 의견서까지 보냈다.
이 원장은 매주 이창용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한국은행 총재·김병환 금융위원장과 함께 모이던 일명 'F4 회의'에도 불참했다. 불편한 심기를 드러내며 노골적으로 대립각을 세운 것이다.

평소 여러 추측에 사실과 다르다고 표명해 왔던 이 원장은 이에 대해선 어떤 설명조차 하지 않고 있다.
국무위원도, 입법 권한도 없는 금융감독원장이 법에 관해 왈가왈부하자 국회는 물론이고 금융당국과 재계까지 시끄럽다.
권성동 국민의 힘 원내대표는 지난 13일 금감원을 찾아와 "검사 때 습관을 못 버렸다"며 공개적으로 비판했다. 유상범 국민의 힘 의원도 "일개 정부위원도 아닌 분이 그렇게까지 직을 걸 것은 아니다"라고 월권이라고 일침을 가했다.
그러나 이 원장은 아랑곳하지 않고 다른 길을 걷고 있다. 26일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선 "상법 개정안 거부권을 행사하지 말라"며 재차 으름장을 놨다.
물론 주주 보호를 위해 이사의 충실 의무를 확대한단 점에서 이 원장의 주장도 일리는 있다. 하지만 상법 개정안 소관 부처의 장(長)이 아닌데 자리까지 내걸며 정부와 다른 목소리를 내는 것은 시장의 혼란을 키울 뿐이다.
금융권 안팎에선 오는 6월 임기가 만료되고 정치적 행보에 나설 초석을 다지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해석까지 나오고 있다.
물론 정치권 진출이 아니라고 해도 이 원장의 이런 언행은 부적절하기 그지없다. 금융위원회 소관 부처로써 협치해도 부족한 시국에 정부와 다른 말을 하며 시장을 헤집어 놓고 있다.
이복현 금감원장의 입이 금융시장을 흔드는 가장 큰 리스크가 돼선 안 된다. '왕관의 무게를 감당하라'는 옛말처럼 이 원장은 금감원장은 지닌 말의 무게를 감당해야 한다.
/박은경 기자(mylife1440@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