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이철우 경북도지사 "산불 대응 국가적 체계 개편해야"


30일 산불 잔불정리 및 피해주민 지원상황 브리핑
이재민 주거문제 시급…모듈러 주택 긴급 공급
문화유산 보호 위한 긴급대응 매뉴얼 개선 시급

[아이뉴스24 이진우 기자]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30일 도청에서 산불 피해 상황과 지원 계획을 브리핑 진행했다.

이번 브리핑은 지난 22일 의성에서 시작해 안동, 청송, 영양, 영덕까지 번진 산불 진화가 마무리 단계에 들어서 후속 조치를 도민과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30일 도청에서 산불 피해 상황과 지원 계획을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경북도청]

이 지사는 "이번 산불로 26명의 사망자가 발생해 매우 안타깝다"며 애도를 표하고 "산불 진화 체계를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정부와 함께 선진화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산불로 경북에서는 4만5157ha가 피해를 입었으며 주택 3369채가 소실됐다. 현재 호텔과 기업 연수시설 등 선진 주거시설에 639명이, 긴급대피장소에는 3773명이 대피 중이다.

이 지사는 잔불 정리 상황과 관련해 영양 석보면 일대 2곳의 잔불을 정리 중이며, 5개 시군에 인력 3,421명과 헬기 59대를 투입해 오늘 마무리하고 뒷불 감시 체계로 전환한다고 밝혔다.

경북도는 이재민 주거문제가 가장 시급하다고 판단해 주거·구호·의료 등 3중 지원 체계를 운영하고 있다.

도내 호텔과 기관 연수시설 등 43곳을 확보해 현재 이재민 639명이 일시 거주하고 있다.

매트리스, 담요, 외투 등 생필품과 방한물품 지원도 계속 진행 중이다. 이 지사는 봉사활동과 지원을 이어가는 국민과 단체들에 감사를 전했다.

포항, 김천, 안동 의료원 소속 의사 등 의료진 47명과 약사회 15명이 대피소에서 긴급 의료 지원을 하고 있으며, 3월 31일부터 경북의사회 소속 의사 100명이 추가 투입될 예정이다. 도내 보건소 22곳은 피해지역을 순회하며 방역 작업을 진행 중이다.

농사철인 만큼 이재민의 생활과 생업을 위해 모듈러 주택을 긴급 설치한다. 안동 등 100호를 시작으로 입주 희망 이재민 전원에게 제공할 계획이다.

경북도는 신속한 복구를 위한 특별법 제정도 추진 중이다. 마을 공동체 주택단지 조성과 산림 정책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할 계획이다.

피해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경제 회복을 위해 고용노동부의 고용위기지역 지정과 중소벤처기업부의 특별지원지역 지정도 추진할 예정이다.

문화유산 보호를 위한 산림정책 개선도 정부에 건의하고 있다. 특히 이번 산불로 피해를 입은 고운사 등 문화재 인근 수목의 사전 정리 등 긴급 대응 매뉴얼 개선을 추진할 방침이다.

이 지사는 "기후변화로 산불이 더욱 잦고 커질 가능성이 높아 국가 차원의 대응 체계를 전면 개편해야 한다"며 "대용량 헬기와 고정익 수송기, 야간 진화 장비 도입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국가가 구호지원부를 신설해 재난 대비 물품을 미리 비축하고 재난 발생 즉시 투입하는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대구=이진우 기자(news1117@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이철우 경북도지사 "산불 대응 국가적 체계 개편해야"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