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이수현 기자]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 산하 전국 레미콘 운송노동조합(수도권 레미콘 운송노조)이 운송단가 협상을 돌입하며 무기한 휴업에 돌입했다. 건설현장 필수 자재인 레미콘 수급에 차질이 발생하면서 건설사들의 우려도 커지고 있다.
수도권 레미콘 운송노조는 수도권 레미콘 제조사를 상대로 운송단가 협상을 요구하며 1일부터 무기한 휴업에 나섰다. 지난 2022년 운송료 인상을 요구하며 파업에 나선 이후 약 2년 만이다.
통상적으로 레미콘 운송노조와 레미콘 제조사는 매년 운송료 협상을 한다. 지난해의 경우에는 2022년 미리 협상을 진행한 영향에 비교적 조용하게 지나갔다. 이어 올해 협상을 재개했는데 양측의 입장이 팽팽하게 맞서면서 계약 종료일인 6월까지 협상 시작조차 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수도권 레미콘 운송노조는 6월 계약이 종료될 때까지 레미콘 제조사가 운송료 협상에 나서지 않아 파업에 나설 수밖에 없다는 점을 강조했다. 반면 레미콘 제조사는 레미콘 운송노조를 노조로 인정할 수 없다는 지난 5월과 6월 경기지방노동위원회(경기지노위)와 고용노동부 중앙노동위원회 판결을 근거로 협상에 나설 계획이 없다고 못 박았다.
앞서 경기지노위는 레미콘 운송노조가 경기지역의 레미콘 회사 111곳을 대상으로 제기한 '교섭요구 사실의 공고에 대한 시정 신청'을 기각하면서 레미콘 운송노조는 개인사업자와 성격이 유사하기에 노조로 인정할 수 없다고 판결했다. 또한 지난달에는 중앙노동위원회가 비슷한 사유로 레미콘 운송노조를 노조로 인정하지 않는다고 판단했다.
수도권 레미콘 제조사 관계자는 "제조사는 권역별로 운송료 협상에 나서고자 했지만 수도권 레미콘 운송노조는 단체교섭을 원하는 상황이고, 또한 자신들을 노조라고 말하지만 최근 이들을 노조로 볼 수 없다는 판결이 연이어 나온 상황에서 단체 교섭에 나설 이유가 없다"고 설명했다.
양측의 대립이 장기화할 조짐을 보이면서 건설사들은 후폭풍이 있지 않을까 신중하게 상황을 살피고 있다. 건설 공사의 필수 자재인 레미콘 공급에 차질을 빚으면 공사 현장에 영향이 발생할 수 있는 탓이다. 레미콘 제조사들은 프리랜서 레미콘 믹서트럭(용차)를 활용해 레미콘을 건설현장에 운송하며 대응하고 있으나 출하량 감소는 불가피할 전망이다.
레미콘 제조사 관계자는 "건설 현장 마비는 막아야 하니 급한 대로 프리랜서를 고용해 출하하고 있지만, 그 수가 많지 않고 일부 공장의 경우 노조가 입구를 막고 차량 진입을 막고 있다고 전해져 출하량 자체가 많이 줄어든 상황"이라고 전했다.
이에 건설사들은 레미콘을 사용하지 않는 공사를 우선 진행하며 피해를 최소화하려고 하는 중이지만 사태가 장기화할 경우 결국은 공정이 지연되며 건설원가에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고 보고 있다. 일반적으로 장마철에는 콘크리트 타설을 할 수 없는 날이 많아 공정계획에 선반영하지만, 장마철 이후에도 레미콘 공급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엔 차질이 빚어질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이와 함께 이미 치솟은 레미콘 가격이 공급 감소 여파로 더 상승할 수 있는 만큼 분양가와 공사비가 더 상승압박을 받을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각 건설사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분기 레미콘 단가는 ㎥당 9만2000~9만3700원 수준이다. 지난해 8만7300~8만8700원 수준과 비교하면 약 6% 상승한 수치다.
앞서 2022년에도 레미콘 수급 차질로 다수 건설 현장에서 공사비 갈등이 발생한 바 있다. 지난 3월 대보건설은 레미콘 공급 차질 등을 이유로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 공사비 인상을 요구하며 한때 공사를 중단하기도 했다. 또한 다수의 정비사업 현장에서도 레미콘 수급 차질 등으로 인해 공사비를 인상한 현장이 속출했다.
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일반적으로 레미콘을 당일 공장에서 공사 현장으로 운송하는데 운송이 멈추면 레미콘을 사용해야 하는 현장에서는 불가피한 영향을 받는다"면서 "철근 작업 등 레미콘이 필요 없는 작업을 우선 진행하고 있지만 수급 차질이 길어지면 공사기간이 더 길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수현 기자(jwdo95@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