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정종오 기자] 지난 겨울철(2022년 12월~2023년 2월) 계절 내 기온변동이 매우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기온이 높고 낮은 날이 큰 폭으로 번갈아 나타나 평균기온은 평년과 비슷한 0.2℃(평년 대비 –0.3℃, 25위)로 기록됐다.
찬 대륙고기압의 영향으로 초겨울(12월)부터 기온 변동이 컸다. 전월(11월)대비 기온 하강폭(11.0℃)은 1973년 이래 가장 컸다. 1973년은 기상 관측망을 전국적으로 대폭 확충한 시기이다.
찬 대륙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아 추운 날씨가 2주 이상 지속하기도 했다. 이후 1월 중순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기온이 일시적으로 크게 올랐다(1월 13일 평균기온 9.6℃). 곧이어 1월 하순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지면서(1월 25일 평균기온–10.2℃), 1월 내 기온 하강 폭이 19.8℃로 역대 가장 컸다.
2월은 상층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고 이동성고기압 영향을 주로 받아 기온이 오르는 추세를 보였다.
기상청(청장 유희동)은 9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2022년 겨울철 기후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북극 해빙이 적을 경우 북극의 찬 공기가 우리나라와 같은 중위도 지역에 유입되기 쉽다. 우리나라 기온에 영향을 많이 주는 북극 바렌츠해의 해빙 면적은 1월(287.5×103km2)과 2월(376.7×103km2) 모두 해당 월내 역대 가장 적었다.
최근 초겨울(12월) 기온이 늦겨울(익년 2월)보다 낮은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올해 역시 초겨울(12월 –1.4℃, 하위 4위)과 늦겨울(2월 2.5℃, 상위 10위)의 기온 차이는 –3.9℃로 역대(1973년 이래) 가장 컸다. 2월 한파일수는 0.1일로 역대 가장 적었다.
지난 겨울철 전국 강수량은 71.6mm(71.2~102.9mm, 평년대비 78.6%에 해당, 33위)로 가까스로 평년 수준을 기록했다.
지난 겨울철 우리나라에 영향을 준 저기압은 13개에 달했는데 대부분 우리나라 북쪽과 남쪽으로 치우쳐서 전반적으로 적은 강수분포를 보였던 가운데, 1월 13일 발달한 저기압 영향으로 많은 비가 내리면서 겨울철 누적 강수량은 평년 수준으로 기록됐다.
광주·전남 지역 겨울철 강수량은 100.5mm로 평년 수준의 비가 내렸는데 광주는 72.2mm로 평년보다 적었다. 12월 대륙고기압이 확장할 때 찬 공기가 서해상을 지나오면서 해기차(바닷물과 공기의 온도차)에 의해 형성된 눈구름의 영향으로 서쪽 지역을 중심으로 눈이 자주 내렸다. 2월에는 우리나라 남쪽으로 저기압이 자주 통과, 남풍계열의 따뜻한 공기 유입으로 눈이 평년보다 적게 내렸다.
지난 겨울철 강수량의 40.4%에 해당하는 양의 비(28.9mm)가 1월 13일 하루 만에 내렸다. 제주도와 남해안은 지형적 영향으로 매우 많은 비가 내려 일부 지역에는 호우특보까지 발효됐다. 경남 거제에서는 100mm가 넘는 기록적 비가 내렸다.
유희동 기상청장은 “지난 겨울에도 미국은 폭설과 한파, 유럽은 이상고온으로 몸살을 앓았고 우리나라도 기온의 변동성이 큰 가운데 초겨울에는 폭설과 1월에는 때 아닌 호우가 발생했다”며 “기후위기시대에 기상청은 기후위기 감시·예측의 총괄지원기관으로서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는 이상기후 변동성을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학계와 협력을 강화하여 이상기후의 원인을 분석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