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윤지혜 기자] 포털업계가 '디지털 뉴딜'을 향한 가속 페달을 밟고 있다. 네이버가 이를 위한 데이터 댐 개방을 선언한 가운데 카카오는 지능형 정부 구축에 초점을 맞추는 모양새다.
앞서 정부는 디지털 신기술을 바탕으로 한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해 오는 2025년까지 약 58조원을 투자하는 디지털 뉴딜 전략을 발표했다. 대표 과제로는 ▲데이터 댐 ▲지능형 정부 ▲스마트 의료 인프라 ▲국민안전 기반시설 디지털화 ▲디지털 트윈 등 5개가 꼽힌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에 이어 카카오도 정부 디지털 뉴딜 전략에 맞춰 '지능형 정부' 일환으로 정부 부처와 디지털 공공서비스 제공에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지능형 정부란 디지털 신기술을 활용해 비대면 맞춤형 정부 서비스를 확대하는 게 골자다.
앞서 카카오는 행정안전부와 '디지털 정부 혁신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은 바 있다. 이와 관련 카카오는 카카오톡으로 주민자치센터 교양·전문 강좌 수강 신청이나, 구청 강당·회의실 등을 예약할 수 있는 서비스를 연내 출시할 예정이다.
정부가 관련 정보를 오픈 핵심기반기술(API) 형태로 개방하면, 카카오가 이를 활용해 서비스를 선보이는 형태다.
이어 카카오톡에서 주민등록등본 등 전자증명서를 신청·발급받고, 세금이나 과태료를 고지받아 납부하는 서비스도 내년 중 선보인다. 행안부와 공공서비스의 이용 편의를 높일 다양한 디지털 서비스 방안을 논의 중이다.
카카오는 한국산업인력공단과도 업무협약을 맺었다. 그동안 국가 자격증·시험정보 포털 '큐넷'에서만 볼 수 있었던 국가 자격 정보를 카카오톡이나 다음 등 카카오 플랫폼에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최근에는 외교부와 비대면 영사콜센터 운영 협약을 맺고 세부 실행과제를 발굴하고 있다.
이 외 지능형 정부의 주요 과제로 꼽히는 모바일 신분증 사업도 추진 중이다. 올 초부터 '신분증 태스크포스(TF)'를 구성, 모바일 인증 환경 개선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다만 아직 구체적인 서비스 방향이나 시기는 확정되지 않았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네이버, 데이터 댐 수문 연다…금융데이터거래소 참여
네이버는 정부의 디지털 뉴딜 전략에 맞춰 데이터 댐 개방 등을 천명한 상태다. 데이터 댐은 데이터의 수집·가공·결합·거래·활용을 통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사업을 뜻한다. 정부는 이를 위해 공공데이터 14만 개를 공개할 예정이다.
앞서 한성숙 네이버 대표 역시 지난 14일 청와대에서 열린 '한국판 뉴딜' 국민보고대회에서 자사 데이터센터 '각'을 '커다란 데이터 댐'이라 지칭하고 "데이터를 통한 사회 발전에 기여하겠다"고 공언했다. 지난 20년간 축적해온 데이터를 개방해 연구와 산업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네이버는 네이버파이낸셜을 통해 포털 금융 계열사 최초로 금융데이터거래소에도 참여했다. 아직 공개된 데이터는 없지만, 네이버페이 결제나 포인트 선불전자충전금 등에 대한 이용 수치와 추세 등이 공개될 것으로 예상된다. 네이버는 인공지능(AI)으로 분석·가공한 데이터를 클라우드를 통해 공개할 계획이다.
업계 관계자는 "포털 기업의 모든 사업과 서비스가 디지털 뉴딜과 연관돼 있다"며 "지난 6일 출범한 디지털경제혁신연구포럼 등을 통해서도 디지털 뉴딜이 나아갈 방향을 지속해서 논의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윤지혜 기자 jie@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