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김종성 기자]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 장기화로 국내 배터리 기업들의 실적이 크게 악화하는 가운데 정부와 배터리업계가 테스크포스(TF)를 구성해 산업 활로 마련과 시장 불확실성 확대에 대응하기로 했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배터리산업협회, 배터리·소재 기업들이 최근 '2차전지 비상대책 TF'를 꾸려 회의를 진행했다.
TF에는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등 배터리 3사와 에코프로, LG화학,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등 배터리 소재 기업이 참여한다. 최근 회의에서는 산업 경쟁력 제고 전략과 리튬·니켈 등 광물 자원의 수급 동향 등이 논의된 것으로 알려졌다. TF는 향후 친환경차와 2차전지 경쟁력 강화 방안 등 정부 지원책에 대해서도 논의할 예정이다.
배터리 업계는 최근 수익성이 크게 악화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해 4분기 2255억원의 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지난 2021년 3분기 이후 3년여 만에 분기 영업이익이 적자로 전환한 것이다.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른 첨단제조 생산 세액공제(AMPC)를 제외하면 적자 규모는 6028억원에 달한다. 증권가에선 삼성SDI와 SK온도 4분기 영업손실을 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배터리 업체들의 수익성 악화는 전기차 캐즘이 장기화한 데 따른 것이다. 세계적으로 전기차 수요가 둔화된 상황에서 완성차 제조사(OEM)들이 전기차 생산 속도 조절에 나서며 배터리 업계도 타격을 입고 있다.
여기에 중국 배터리 업체들이 세계 배터리 시장에서 빠르게 점유율을 늘려가며 국내 배터리 업체들의 입지는 더욱 위협받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1~11월 국내 배터리 3사의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사용량 시장 점유율은 19.8%로, 2022년(24.6%), 2023년(23.3%) 대비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다. 반면 중국 CATL과 비야디(BYD)의 점유율은 2023년 41%에서 지난해 53.9%로 크게 늘었다.
올해 시장 환경도 녹록지 않다. 미국은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으로 전기차 보조금 폐지 등이 거론되고 있고, 유럽에서도 이산화탄소 배출 규제 완화 등 친환경 정책에 대한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이창민 KB증권 연구원은 "미국 시장에서의 전기차 지원 정책 철폐 우려 외에 유럽 수요 가시성마저 낮아졌다"며 "탄소 배출 규제가 완화되면 유럽 완성차 업체들이 전기차 생산을 서둘러야 할 니즈(수요)가 약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배터리 업계는 잇달아 '비상경영체제'를 선언하고, 캐즘 장기화에 대비해 전기차용 배터리 이외 사업 비중을 높이는 포트폴리오 재조정과 투자 효율화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아울러 초격차 기술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하겠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배터리 시장의 불확실성이 큰 만큼 생존을 위해선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경쟁력 강화를 위해 배터리 공급망과 소재·부품·장비 기업에 대한 한시적인 생산 보조금 지원, 국회와 정부의 정책금융 확충, 연구개발(R&D) 예산 증대, 투자세액공제 직접 환급 제도 도입 등을 요구하고 있다.
박태성 한국배터리산업협회 상근부회장은 최근 '트럼프 2.0 배터리 정책 대응 세미나'에서 "트럼프 2기 출범을 계기로 새로운 한미 배터리 협력 사업을 전개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투자 확대와 기술 초격차 확보 등 협상 카드가 많아야 한다"며 "국회와 정부 차원의 예산, 세제, 금융 지원과 입법 지원에 보다 많은 도움과 지원을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김종성 기자(stare@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