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명화·극장·가다] 누군가에게 나는 너무 말많은 사람은 아니었을까, '올드보이'


 

감옥 안에서 그는 TV를 통해 아내의 죽음을 보고, 살인누명을 쓴 자신의 수배 사진도 본다. 그리고 아무도 이유를 말해주지 않았기에 왜 자신이 갇힐 수밖에 없었는지, 살아오며 누구에게 상처를 준 적은 없는지 반추하며 차근차근 노트에 써 내려간다.

무난한 인생이라고 생각했지만 악행의 기록은 너무 많았다.

왜, 무엇 때문에 나는 갇힌 것일까

술 좋아하고 말 많은 평범한 회사원 오대수. 역시 얼큰한 취기에 말다툼을 하고 끌려간 파출소에서 한동안 난동을 피우다 풀려난다.

딸의 생일 선물을 사들고 집으로 가겠다고 전화를 걸던 그가 한순간 전화부스 밖에서 흔적없이 증발한다. 오대수, 그에게 무슨 일이 일어난 것일까.

살아오면서 수많은 이들에게 아무 생각없이 주었을 상처들을 하나하나 돌이켜본 적이 있는가. 아무리 생각해내도 기억나지 않는 일들이 타인에게는 지울 수 없는 상처로 남을 수도 있다.

"모래알이든 바윗돌이든 물에 가라앉는 건 똑같다."

자신이 던진 모래알 때문에 15년을 감금되고 다시 세상에 던져진 오대수는 이제 복수를 가하기 위해 작은 실마리를 추적해 나간다.

15년 동안 매일같이 먹던 군만두의 맛을 찾아 '청룡'이라는 이름의 수많은 중국집을 찾아다니고, '에버그린'이라는 아이디의 주인을 찾아 인터넷을 검색한다.

영화는 끝까지 관객의 호기심을 붙들어 맨다. 이유를 말하기 전에 먼저 스스로를 죽겠다는 가해자의 말에 죽이기를 포기하는 오대수의 심정과 마찬가지로 관객의 궁금증도 최고조에 다다른다.

잔혹하고 슬픈 이름 '복수'

박찬욱 감독의 신작 '올드보이'는 '복수'에 관한 이야기다. 일본의 만화를 원작으로 한 이 작품은 감독의 전작인 '복수는 나의 것'과 연장선상에 놓여 있다.

모든 것이 과잉인 영화. '올드보이'는 이렇게 말할 수 있을 것 같다. 감정도 폭력도 색채도 모두 익숙한 것을 넘어선 과잉의 상태.

2000년대 초반 한국의 감독들이 과거를 코믹하게 반추하기에 급급할 때 박찬욱 감독은 인간의 가장 잔혹한 정서에 관심을 기울인다.

대부분의 관객이 '공동경비구역 JSA'로 그를 기억하겠지만, 감독이 정작 하고 싶었던 이야기는 결코 녹록한 것이 아니었음을 두 편의 연작을 통해 알 수 있다.

전작인 '복수는 나의 것'이 메마르고 물기없는 세상에 가하는 잔혹한 복수라면 '올드보이'는 슬프고도 처절하지만 약간의 온정이 살아있는 복수극이라 할 수 있다.

'복수는 나의 것'에서 딸을 잃은 아버지와 누나를 잃은 농아 청년은 모두 가해자이자 피해자가 된다.

딸의 살인범을 쫓는 아버지는 그 사실을 알지만 가열찬 복수의 손을 놓을 수 없고, 두 사람은 모두 파국을 맞는다.

박찬욱 감독은 '복수'라는 강렬한 감정을 '올드보이'의 극 중인물 오대수를 통해 말한다.

"너무 오랫동안 복수를 생각하다 보니 그게 성격이 돼 버렸어."

복수가 없이는 인생을 살아갈 수 없는 것, 복수로 인해 상처의 아픔도 슬픔도 죄의식도 잊을 수 있는 것, 그것이 모든 감정들보다 강한 복수심인 것이다.

이유를 알기 전까지 시선을 뗄 수 없는 두 남자의 서글픈 대결은 박찬욱 감독의 과잉의 미학 속에서 빛을 발한다.

또한 폭발하는 듯 최고의 역량을 발휘하는 최민식의 연기는 소름끼치게 다가온다.

인생을 빼앗기고 감정의 극단에서 복수의 화신으로 태어난 남자의 모습을 오싹할 정도로 강렬하게 연기한다.

웰메이드 장르 영화로써 '올드보이'는 흥미로운 스토리와 세련된 영상, 배우들의 연기력에 힘입어 한국영화계에 새로운 족적을 남길만한 작품으로, 두 남자의 잔혹한 복수극에 동참하고 싶은 관객들의 발길을 극장으로 끌어 모을 듯 하다.







alert

댓글 쓰기 제목 [명화·극장·가다] 누군가에게 나는 너무 말많은 사람은 아니었을까, '올드보이'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